작품과 감상 - 작가는 텍스트를 만들고 대중은 해석을 갖는다. 20세기 초반 러시아의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는 어느날 술에 취해 자신의 작업실로 들어오다 한 점의 멋진 그림을 발견하게 된다. 도대체 누가 그린 것일까? 무엇을 그린 것일까? 하지만 정작 정신을 차리고 자세히 살펴보자 그것은 자기가 그린 그림을 거꾸로 걸어 놓은 것에 불과했다. 바.. 드라마 2012.05.23
특수사건전담반TEN - 불완전한 결말, 드라마는 드라마로서 완결되어야 한다. 농부는 밭을 탓하지 않고 위정자는 백성과 다투지 않는다. 학생과 싸우는 선생은 그다지 자격이 없는 것이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바를 다 했을 때 그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결과로서 돌아온다. 사람이 싸우게 되는 것은 그 하고자 하는 바를 다 하지 못했을 때 마침내 싸우게 되는.. 드라마 2012.01.15
표절과 무단샘플링... 내가 표절에 적대적인 이유는 다른 게 아니다. 표절로 인해 더 나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더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 이상 기대할 게 없다. 표절은 참 쉽다. 노력도 시간도 돈도 덜 든다. 그만큼 편하게 더 나은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다. 표절이 허용되면 사람들은 누구나 그런.. 대중음악 2010.07.17
리얼과 리얼리티... 흔히들 오해하는 부분 가운데 하나다. 리얼과 리얼리티... 리얼은 리얼리티가 있어야 하고, 리얼리티란 리얼하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사람들이 또 흔히 쓰는 말 가운데 그런 게 있다. "어이없다." "황당하다." "말도 안된다." 요약하자면, "어떻게 그런 게 가능해?" 예를 들어 예전 해피투게더에서였던가.. 연예일반 201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