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블로와 분노하는 한국사회... 1차세계대전이 끝나고 패전국이 된 독일을 방문한 한 영국인은 당시의 독일과 독일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인상을 남기고 있었다. "패전의 굴욕감으로 인해 독일인들은 도덕적으로 더욱 비굴해졌다." 해가 지지 않는 영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대륙 최강의 국가였다. 최고의 기술력과 최.. 문화사회 2012.11.10
여전히 타블로 - 연예인 안티와 경쟁사회의 자화상... 경쟁이란 다시 말해 누군가와 비교하는 것이다. 비교하여 서열을 매기고 그것을 가지고 우열을 나눈다. 누가 승자이고 누가 패자인가? 승자는 우월한 것이고 패자는 열등한 것이다. 경쟁사회이기에 승자는 곧 선이고 정의이고 패자는 악이고 부정함이다. 그렇게 배워 온다. 그렇게 길러진다. 엄친아라.. 문화사회 2011.07.11
의혹은 죄가 아니다 - 정선희와 현명하신 여론판사들! 내가 리플접대라는 걸 포기한 또 하나의 이유가, "도대체 이걸 뭐라고 댓글을 달아야 하지?" 예를 들어 본문을 전혀 읽지도 않고 달리는 리플이다. "본문을 읽어주세요." 웃기지? 그렇다고 또 리플에서 본문의 내용을 풀어줄 수도 없는 거다. 뻔히 안 읽는다. 아니더라도 이야기가 어지간히 꼬이고 나면 .. 문화사회 2011.01.18
진중권과 대중"님"들을 위한 경건함... 사실 나도 처음부터 블로그 운영을 이따위로 했던 건 아니다. 상당히 친절했고 인내심도 있었고 어떻게든 좋은 관계를 만들어보려 노력했었다. 하지만 그게 참 쓸데없는 짓이었다는 걸 오래지 않아 깨달았지. 대중의 마인드는 - 아니 스스로 대중이라는 집단 안에 매몰된 인간들의 마인드는 한 가지다.. 문화사회 2011.01.03
타진요 사태를 돌아보며 - 인터넷문화의 한계... 솔직히 타진요로 인해 나도 피해가 있었다. 그래도 5천 명은 넘게 꾸준히 들어오던 블로그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3천 명 남짓. 역시나 타진요 건으로 네티즌을 욕했더니만 그렇다. 하지만 어쩔 수 없었다. 당시 타진요 사태는 순전히 네티즌이 자초한 것이었으니. 네티즌을 욕하지 않고 어찌 그 상황을 .. 문화사회 2010.12.29
MC몽의 재판에 대해... 현대 사법의 절대원칙 가운데 하나가, "아흔아홉사람의 범인을 잡기보다 한 사람의 억울한 사람을 없게 하라!" 그래서 나오는 게 무죄추정의 원칙이다. 피의자가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는 것아니라 사법부가 그 죄를 찾아 입증해내야 한다. 아니면 무죄. 당연한 것이 법이란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문화사회 2010.12.21
인터넷 - 타블로 그리고 두 달,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타블로의 일이 그렇게 끝나고 어느 게시판에서 본 모습이다. "A가 면제네?" "수상한데?" "뭔가 이유가 있겠어?" "파헤치면 나올 거야!" "이상해!" "뻔하지!" "이 새끼 이거 문제 있구만?" 그리고 그 뒤로는 아예 대놓고 범죄자취급. 누구인가는 말 않는다. 또 뻔하게 그것으로 의혹 삼을 네티즌이 있다는 것.. 문화사회 2010.11.30
뉴욕포스트, 존박 2위한 것은 국적차별... 그럴만도 하겠다! 뉴욕포스트에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올라온 모양이다. 슈퍼스타K에서 존박이 우승 못한 것은 국적에 대한 차별 때문이었다고. 뭐 그렇게 여길만한 정황은 있다고 본다. 박재범 때도 그랬다. 타블로 때도 그랬다. "외국인 놈이!" "검은머리 외국인이!" "군대도 안 가는 주제에!" 외국인이 한국 욕하는 것.. 문화사회 2010.10.26
타블로 - 그럼에도 인터넷에 족쇄채우기를 반대하는 이유... 솔직히 감정대로 하자면 아예 인터넷에서 다시는 저런 뻘짓을 못하도록 검열과 처벌을 강화했으면 좋겠다. 일단 내가 들어먹은 욕 때문에라도 그런 놈들 싹 쓸어버렸으면... 하지만 항상 내가 전제하는 것이, "사람은 결국 불완전한 존재다." 다양성이라는 게 그렇다. 왜 다양성이 필요한가? 불완전하.. 문화사회 2010.10.19
타블로 - 정서의 정의... 대한민국에는 헌법 위에 또 다른 무소불위의 규범이 존재한다. 바로 국민정서법이다. 그것이 법을 위반했는가? 가치에 어긋나는가? 상관없다. 내 감정에 어긋나면 그건 잘못된 것이다. 물론 자연법사상에서는 그것도 하나의 규범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그러자면 어떤 일관된 체계는 갖춰야 하.. 문화사회 20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