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恨)과 뽕끼, 그 신명과 서러움의 정서에 대해서... 문화평론가 이문원씨의 "나가수 임재범과 옥주현, 결국 '뽕끼'의 수준차"라는 제목의 평론을 읽었다. 대중음악평론가 차우진씨의 "[특집]노래만 남고 음악은 빠진 '나가수' 신드롬"이라는 비평을 인용하며 가창력과 뽕끼에 대해 심도있게 접근하고 있었는데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을 수 있었던 흥미로.. 대중음악 2011.06.12
어떤 한국인들의 한류에 대한 모순된 인식... 그렇게 일본이 싫다. 일본인이 혐오스럽다. 일본의 사회와 문화가 우습다. 그런데 그러면서도 일본에서 활동하며 성적을 내는 한국 걸그룹은 자랑스럽다. 한류란 말이 나오면서부터 항상 의문이던 것이다. 그렇게 이리 싫은데 한류는 어째서 좋은 것일까? 두 가지 솔직한 반응이 있다. "일본에서 그러.. 문화사회 2011.01.14
뉴욕포스트, 존박 2위한 것은 국적차별... 그럴만도 하겠다! 뉴욕포스트에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올라온 모양이다. 슈퍼스타K에서 존박이 우승 못한 것은 국적에 대한 차별 때문이었다고. 뭐 그렇게 여길만한 정황은 있다고 본다. 박재범 때도 그랬다. 타블로 때도 그랬다. "외국인 놈이!" "검은머리 외국인이!" "군대도 안 가는 주제에!" 외국인이 한국 욕하는 것.. 문화사회 2010.10.26
타블로와 관계지향적 사고... 이번 타블로 사태에서 또 한 번 느낀 것이 얼마나 한국사람들은 인식관계에 취약한가. 사실은 명확하다. 이미 증거들과 증언들이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사람들이 믿고 따른 것은 누군가 내놓은 단지 논리에 불과한 의혹들. 뭐냐면 무엇이 사실인가보다 누구로부터 그 말이 나왔는가.. 문화사회 2010.10.09
타블로 - 개티즌의 뻔뻔함! 신나게 칼질을 한다. 온갖 곳을 칼로 쑤셔놓고서는 말한다. "어, 아니었어? 미안해." 좋다. 그런데 그 다음이 가관이다. "이제부터 전처럼 지내자. 아니면 실망할 거야." 뭐 이런 병신같은 것들이 다 있나? 여전히 나오는 말, "네가 처음에 대응을 잘못해서 칼침 맞은 것 알지? 그러길래 잘하지 그랬어?" 나.. 문화사회 2010.10.02
타블로 - 아니나 다를까 비열한 네티즌들... 네티즌이라 쓰고 개티즌이라 읽는다. 아니나 다를까 이제 타겟을 타진요로 잡았구나. 내가 줄곧 주장해 온 바다. 바로 이런 게 한국 인터넷문화의 현실이다. 현주소다. 어제 이혜수의 W에서 돌팔매형에 대해 나오는 것을 보고 어느새 공감하고 말았다. 바로 저 모습이라고. 무언가 잘못이 있을 것 같으.. 문화사회 2010.10.02
MBC스페셜 - 타블로 스탠포드를 가다... 역시 내가 주장해 온 대로다. 어느 시골마을에 서울 사람이 들렀다. 들러서는 자기가 본 남대문에 대해 설명한다. "서울에는 남대문이라는 게 있는데 이렇다더라..." 그러나 마을 사람 가운데 꽤 똑똑한 이가 있어 바로 반박한다. "그런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느냐?" 과연 논쟁은 누구의 승리로 끝났을까.. 문화사회 2010.10.02
"인생은 아름다워" 광고와 타진요... 아니 사실 타진요만이 아니다. 타블로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도 그 소리 한다. "캐나디언이라 싫다." 내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에 대해 모멸감까지 느끼고 만 이유다. 단지 국적 때문에? 도대체 국적을 이유로 불쾌해하고 그를 증오하고 배제하려 드는 심리란 무엇일까? 그리고 또 다시 들려온 어이없는 뉴.. 연예일반 2010.09.30
타블로와 정보의 바다의 맹점... 원래 사람이란 게 그렇다. 뷔페에 갔다. 온갖 다양한 맛난 음식들이 한가득 있다. 그러면 과연 그 음식들을 골고루 챙겨먹으려 들까? 좋아하는 것만 먹기도 바쁘다. 좋아하는 것만 집어먹다가도 배가 부른다. 그런데 누가 그리 맛도 없는 것을 굳이 챙겨먹으려 들까. 인터넷이라는 속성이 그렇다. 그동.. 문화사회 2010.09.25
믿음과 인정... 타블로 사태를 보면서... 믿음이란 개인적인 것이다. 그리고 전적인 것이다. 인정이란 공식적인 것이다. 그리고 최소한에 대한 것이다. 뭔 말이냐면 과거 루팡 표절의혹에 대해 나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었다. "만일 표절이면 나도 함께 까이겠다." 다른 근거가 있어서가 아니라 스윗튠즈를 믿으니까. 반면 인정이라는 것은 이.. 문화사회 2010.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