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039

오픈월드와 낭비, 과시와도 같은 과도한 투자와 노력에 대해

오픈월드의 역사는 꽤 오래되었다. 하여튼 울티마 시절부터 많은 게임개발자들에게 자신이 만든 게임 속에 하나의 세계를 구축한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인 이상으로 여겨졌던 때문이다. 그래서 하드웨어 성능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많은 개발자들은 자기들만의 오픈월드를 게임 안에 구현하려 노력해 왔었고 그 결과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둔 명작게임들이 적잖이 나오기도 했었다. 다만 그럼에도 크게 체감이 안되는 이유는 그동안의 하드웨어 발전이 그야말로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게 진짜 가능했던가 싶을 정도로 디테일까지 꽉꽉 채운 게임들이 그야말로 발에 채일 정도이니. 그래서 깨닫는다. 이래서 오픈월드가 한계를 맞았구나. 오래전 스카이림을 할 때도 그랬지만 오픈월드 게임을 하다 보면 저도 모르게 생기는 습관 같은 것이 있다...

기타 2025.04.29

한국 채식문화와 가난의 상관관계, 채소는 가난해서 먹는다?

아직 생산력이 높지 못했던 전근대사회에서 특히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었던 곡식의 생산은 항상 가장 우선되어야 할 과제였다. 더구나 토지를 기반으로 한 봉건적 질서에서는 모든 경제단위가 토지에서 생산된 곡식을 통해 이루어졌기에 더욱 그랬었다. 이를테면 조선시대 부자를 나누는 기준이던 천석꾼, 만석꾼하는 것도 결국 소유한 토지의 생산력을 기준으로 했던 것이었고, 전국시대 이후 일본에서 다이묘들의 실력과 급을 나누는 기준이었던 고쿠다카 역시 쌀의 생산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었다. 유럽도 다르지 않아서 기본적으로 영지의 모든 생산은 밀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말은 곧 생산수단인 토지를 소유한 지주나 영주들 입장에서도 가능한 더 많은 땅에서 주곡인 쌀과 밀을 생산하는 것이 자신의 신분과 지위와 권..

문화사회 2025.04.13

닌텐도 스위치2에 대한 생각과 우려

주로 게임을 위해 구매하는 그래픽카드 가운데 시장에서 가장 주류를 차지하는 이른바 메인스트림의 가격이 대략 50만원 이하다. 사실 이것도 코로나를 거치면서 너무 비싸진 것이고 이전까지 대부분 30만원 이하에서 팔리고 있었다. 당연하지만 50만원 이하라지만 가성비로 팔리는 대부분 제품들은 40만원 이하일 때가 많다. 한 마디로 더 많은 돈을 쓰면 더 높은 해상도에서 더 높은 옵션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겠지만 나로서는 여기까지가 게임에 투자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 정도면 적당한 해상도에서 적당한 옵션으로 문제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그래서 나 역시 작년까지 채굴장에서 풀려나온 RX6600을 문제없이 게임용으로 쓰고 있었다. 모니터만 43인치 4K가 아니었다면 지금도 그랬을 것이다. 원래..

기타 2025.04.06